본문 바로가기
국내주식

초천도체에서 맥신으로 짧아진 테마주 주기

by 라이징유로스타 2023. 8. 22.
반응형

2차 전지 ▶ 초전도체로 이동한 테마주 열기가 새로운 테마인 '맥신'으로 이동했습니다. 국내 주식시장의 조정이 길어지자 단기차익을 노린 투자가 급증하고 있어 개인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 맥신 테마주 관련주 무더기 '상한가'

초전도체에서 '맥신'으로 이동한 테마주 열기에 맥신 관련종목인 휴비스, 시노펙스, 경동인베스트, 태경산업, 코닉오토메이션, 나인테크, 아모센스, 하이로닉, 나노, 센코 등이 무더기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IST)이 맥신의 대량 생산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투자자들의 투심을 자극한 것으로 보입니다. 


2. 맥신이란 무엇인가?

<출처 : 게티이미지코리아>

맥신(MXene)은 전이금속인 티타늄과 유기물인 탄소로 이루어진 2차원 평면구조를 지닌 세라믹 물질로, 금속성질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말단에 있는 수산화기나 산소로 인해 친수성을 띠는 특이성을 지니고 있는 물질입니다. 이에 다양한 용매들에 잘 녹아 가공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금속층과 탄소층이 교대로 쌓인 2차원 나노물질이기 때문에 전기전도성이 높고 여려 금속화합물과의 조합이 가능해 반도체나 전자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이 가능한 신소재입니다. 


3. 맥신의 장단점

<출처 : 위키피디아>

맥신이 꿈의 신소재인 이유는 여러 금속화합물과 조합이 가능하여 활용도가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양한 전이금속과 13족(붕소, 알루미늄등) 또는 14족(탄소, 규소, 게르마늄등) 원소, 탄소 또는 질소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수백 가지 종류의 서로 다른 맥신을 합성할 수 있어 에너지 저장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맥스 결정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물질들을 부식시켜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식각(Etching)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리는 한계가 있습니다. 식각에는 최대 24시간 동안 불산 또는 반응성이 높은 용액에 맥스 소재를 담그는 과정이 포함되는데, 이 과정에서 대량의 유해 폐기물이 발생되어 제조 규모가 제한되고 비용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4. 맥신 대량생산 가능성에 테마주 급등

<시노펙스 일별시세>
<휴비스 일별시세>

맥신 테마주로 분류된 휴비스, 코닉오토메이션, 경동인베스트, 태경산업 등은 상한가를 기록했습니다. 휴비스는 맥신관련 고분자 나노 복합체 제조 방법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로, 경동인베스트와 태경산업은 관련 소재 산업을 하고 있다는 이유에서 테마주로 분류되었습니다. 하지만 테마주로 분류된 회사 관계자들은 맥신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며 당황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테마주로 묶이게 되어 이유 없이 주가가 급등하게 되면, 결국 주가가 제자리로 돌아와 관련 회사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수 있는 게 사실입니다. 현재 테마주의 교체주기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에 무분별한 묻지마 투자는 위험할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5. 짧은 테마주 교체주기 투자주의

상반기 2차전지의 광풍이 불었고, 그 뒤를 이어 초전도체 테마가 바통을 이어받았습니다. 하지만 초전도체 테마는 세계 유수 학술지들이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다라고 결론 내리자 관련 테마주들은 급락을 이어갔습니다. 단순 기대감으로 상승한 종목들은 재료가 소멸되고 실질적인 사업성과나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기 때문에 주가를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맥신 또한 초전도체와 마찬가지로 단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하고 있고, 언제 재료가 소멸될지 모르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